카테고리 없음

[스크랩] 이신론에 대한 답변들

peterpa 2009. 4. 3. 14:34

- 이신론에 대한 대답들

- 다른 많은 관념적 철학자들과는 달리, 울스톤은 자기 견해 때문에 피를 보게 되었음. 1729년 그는 대법에서 신성모독죄로 심리를 당하고 1년 금고에 벌금 100파운드 형이 내려짐. 벌금을 낼 수 없어서, 남은 날을 연금상태로 보냄. 새뮤얼 클락(Samuel Clark)과 같은 정통입장의 교인들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석방되지 못함. 죽을 때까지 가택 연금 상태로 지내다 죽음.

- 이보다는 덜 야만적이며 더 효과적인 대응이 방고어의 감독이었던 토마스 셜록(1678-1761)에게서 나옴. 셜록은 나중에 셀리스배리와 런던의 주교로도 지냈음. 그는 울스톤이 헌정했던 감독들 중 한 사람이었음. 셜록은 이미 <예언의 용례와 의도>(1725)라는 제목으로 콜린스에게 대답하는 설교들을 출간한 바가 있었음. 그의 주저 <부활의 증인들에 대한 심리>(1729)는 영국과 유럽에서 여러 번 인쇄되었음. 그리고 18세기의 C. S. Lewis와 같은 역할을 함.

- 이 책은 런던 4개의 법조 학원에 속한 신사들이 사적인 토론의 형식으로 울스톤의 케이스를 재심리하는 식으로 저술됨. 그러나 이번에는 부활의 증인들이 증인석에 불려나와 심리를 받음. 결론은 제자들이 그들의 증언에 있어서 진실했다는 것. 그러나 그런 증언이 믿을만한가? 유일무이한 역사 사건의 경우, 시간을 거슬러 다시 올라간다는 것은 불가능하지 않은가?

- 이 점에서 셜록은 존 로크가 이전에 제시한 논증을 소개함. 즉 당연히 자연 법칙과 사물이 움직이는 작용을 참작해야 하지만, 이 경우에는 적용되지 않는다는 것. 우리의 지식이 제한적이라는 것. 인간의 지식으로 부활의 가능성을 제한할 수 없다는 것. 하나님이 무엇을 하실 수 있는지 우리는 모른다는 것. 우리의 경험은 부활이 불가능할 것 같지만, 논리적으로는 불가능하다고 말할 수 없다는 것.

- 당시 헨델의 메시야가 복음신앙에 대한 웅변이 됨.

- 지적 층위에서 가장 중요한 답변은 조셉 버틀러(Joseph Butler) <종교의 유비성> (The Analogy of Religion, Natural and Revealed, to the Constitution and Course of Nature, 1736). 이 책은 버틀러가 영국 북부의 시골 교구의 사제였을 때 쓴 것. 나중에 그는 브리스톨의 주교, 런던 세인트 폴 캐시드럴의 주임사제, 더람의 주교가 되었음. 평생 그는 교회 최대의 사상가로 간주됨. 버틀러는 자기 논적들의 이름을 거명하기를 삼감. 그러나 그의 철학은 홉즈에서부터 톨란드에 이르는 영국 사상계의 자연주의와 회의주의에 대한 대응으로 이루어져 있음.

- 이신론자들은 자연 종교와 계시 종교 사이를 예리하게 구별했지만, 버틀러는 둘 사이의 유비성이 있음을 주장함.

- 버틀러의 스타일과 언어는 고풍스럽지만, 그의 사상들은 그렇지 않음. 여러 면에서 현대 사상을 예견하고 있음. 버틀러는 생각에서 개연성(확율)의 역할에 주목. 개연적인 증거는 대략적 관념들만 형성할 수 있게 해줌을 인정. 그러나 무한한 지성에게는 모든 것이 확실. 인간은 무한지성을 소유하고 있지 않음. 그러므로 인간에게는 개연성이 삶의 가이드. 이렇게 말함으로써 버틀러는 인간이 내리는 결론들은 제한된 증거에 기초해서 제한된 지성으로 내려진 기껏해야 해석들일뿐임을 인식. 그것도 알 수 없는 수많은 가설들에 비추어서 해석된 것이고, 그 가설들도 직접 검토해 본 것이 아님을 인식. 다시 말해서 인간이 말하는 모든 사실은 다만 이론의존적인 것임을 말함. 신자들의 경우만 아니라 회의론자들에게도 해당되는 말. 이신론자들의 자연종교론에도 똑같은 비판이 해당됨.

- 하나님의 존재증명에 대해서 일종의 전제주의(presuppositionalism)에 세움. 지적인 저자, 자연의 통치자에 대한 전제는 우주의 합리성 및 도덕 가치의 진정한 객관성에 대한 신념의 필수조건이라는 것. 더욱이 사물들에 대한 기독교적 도식은 세계에 대한 명백한 물리적 도덕적 사실들과 양립가능하다는 것. 기독교는 자연종교가 설명하고자 하는 현상들을 설명할 수 있다고 주장.그리고  오직 이성으로 발견할 수 없는 실재들에 대해서 사람들이 인식할 수 있도록 해준다는 것.

- 변증에 대한 그의 접근 방법은 통전적(holistic). 단 하나의 결정적 사실의 발견에 의해서 어떤 진리 진술이 서거나 넘어지는 것이어서는 안 된다는 것. 전반적인 종합적/ 포괄적인 그림이 타당성이 있어야 한다는 것. 물리 세계를 기술하고자 할 때 여러 과학이론들의 네트워크를 통해서 그리는 것과 같음.

- 그는 흄의 자연종교론의 배후에 있는 인물. (클린티스Cleanthes라는 인물의 모델).

- 웨슬레와의 조우. 자기 교구에서 설교활동을 금지시킴. 열광주의자로 비침.

 

- 영향

- 얼마 안 되는 소수의 사람들이 제도적 기독교에 합리적인 자연 종교의 이름으로 도전하고 적대적으로 공격. 1750년대에는 거의 멸종함. 그러나 그들의 사상은 뿌리를 내리고 널리 퍼져나감. 가장 널리 퍼진 생각은 역사 안에서 초자연적인 요소는 인정될 수 없다는 것. 신약성경, 역사적 예수 연구에 영향. 신약성경의 예수와 역사적 예수는 다르다는 것.

- 이 때 즈음 영국 성공회 학자 한 사람이 코이너스 미들톤(Coyners Middleton)이라는 이름으로 <기적의 힘에 대한 자유로운 탐구> (A Free Inquiry into the Miraculous Powers which are Supposed to have Subsisted in the Christian Church, from the Earlist Ages through Several Successive Centuries, 1748)라는 책을 출간. 신약성경시대 끝부분에서 5세기까지에 대한 조사. 그의 지적은 유명한 기독교저자들이 자신들이 기적행했다고 주장하지 않았다는 것. 기적 스토리를 조롱. 초자연적인 설명들을 자연적인 설명으로 돌리는 것.

- 웨슬레는 미들톤을 전체 기독교 시스템을 전복시키려는 음모를 꾸몄다고 느낌.

- 에드워드 기본 – <로마 제국 멸망사> (1776-88) 기독교의 기적의 요소를 직접 공격하지 않고 간접적으로 질식시키고자 함.

- 역사에 대한 기본 접근방법 – 1. 성역사는 세속사와 전혀 다르게 취급되어서는 안 된다. 2. 과거의 사건의 유형과 현재 일어나는 사건 유형 사이에는 유비성이 반드시 있게 마련이다. 3. 역사는 유한한 원인결과의 맥락에서 기술 될 수 있는 같은 차원의 사건들의 네트워크로 구성된다.는 것.

- 미국과 유럽에 심대한 영향. 미국에서는 특히 이신론자들이 큰 영향을 미침. 정교분리

- 프랑스에서 볼테르, 독일에서 라이마루스가 영국 이신론자들의 글에 친숙.

- 독일 계몽주의는 이신론의 다른 얼굴임.

출처 : 청랑정
글쓴이 : 청랑 원글보기
메모 :